이스라엘이 그리스도를 배척한 원인

하나님의 선민 이스라엘이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약속하신 메시아 즉 그들이 기다리고 사모하던 그리스도를 배척한 로마인의 손에 넘겨 주어 십자가에 못박아 죽게 했다. 이것은 더할 수 없는 큰 죄악이요, 비극이며,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충격적인 사실이 우리에게 크나큰 교훈을 주고 있다. 더 나아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미리 약속하신 그리스도를 보내셨지만 이스라엘이 그리스도를 배척한 이유는 무엇인가?


ⅰ) 성경에 나타난 그리스도를 올바로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38 그 말씀이 너희 속에 거하지 아니하니 이는 그의 보내신 자를 믿지 아니함이니라
_요한복음 5:38
8 이 지혜는 이 세대의 관원이 하나도 알지 못하였나니 만일 알았더면 영광의 주를 십자가에 못 박지 아니하였으리라
_고린도전서 2:8


 당시 유대인들의 역사적인 배경이 그들로 하여금 그리스도를 배척하게 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히 선택된 민족으로서, 다윗왕 당시에는 주변 이방세력을 정복하고 통일왕국을 이루었으며 솔로몬왕 시대에는 그야말로 황금시대를 이루었었다. 그러나 그 후 이스라엘 민족이 우상숭배하는 죄를 범하므로 하나님께서는 바벨론을 들어 이스라엘을 치셨다.

 예루살렘 성전은 불타버리고 유다 왕 시드기야와 모든 백성들이 모두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서 갈대아인 노예가 되고, 솔로몬 때 쌓아두었던 보물이 모두 바벨론으로 옮겨졌으며, 소수의 빈천한 농부들만이 그 땅에 남아 있었다(열왕기하 25:1-17). 예레미야를 통해 예언하신 대로 70년간의 포로생활을 마친 후, 하나님께서는 바사(페르시아)왕 고레스로 하여금 이스라엘을 놓아 다시 약속의 땅으로 돌아오게 하셨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그들의 주권을 갖지 못한 채 계속 강대국의 권세 아래 다스림을 받아야만 했다. B.C. 606년 바벨론에 의해 정복된후에 메대 바사, 헬라의 지배를 받았고, 예수님 당시에는 세계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로마의 통치 아래 신음하고 있었다. 세금을 거두어 로마 가이사(황제)에게 바쳐야 했고, 로마제국이 임명한 분봉왕이 이스라엘을 다스렸다. 더구나 실제 정치권력 및 재판권을 로마 총독이 행사했고, 예루살렘은 로마 군인들에게 짓밟히고 있었다.


ⅱ) 이스라엘을 독립시킬 왕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고대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커다란 곤욕을 당하고 있었던 까닭에, 오로지 성경에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메시아를 빨리 보내주실 것을 간절히 부르짓게 된 것이다. 그들은 바벨론 시대부터 600여년간 강대국들의 압제 하에 고통을 받았지만, 메시아만 오시면 압제자 로마를 정복하고 이스라엘을 독립시키며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온 지구상에 그리스도의 왕국을 건설해 줄 것을 기대했다.


ⅲ) 그들의 민족적ㆍ현실적ㆍ육신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시는 그리스도만 생각한 나머지 영혼구원의 그리스도는 망각했다. 

 눈 앞에 있는 문제들의 해결에 집착함으로 인해, 먼저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인간의 영혼을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시기 위해 죽으시고 부활 하셔야 할 것에 대해 자세히 예언된 성경말씀을 그들은 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나님 의 계획은 이스라엘 민족을 회복하거나 인간의 육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먼저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을 위해 지음을 받은 영혼을 죄와 사망의 권세에서 구원하시고 영생을 주심으로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이끌어 들이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스라엘 민족은 육신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에 집착한 나머지, 육신과 그들의 땅이 로마의 권세 아래 짓밟히는 것 이상으로 그들의 영혼이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있는 것과 영원한 나라를 마귀로 인하여 빼앗기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으며, 또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해 주시는 그리스도를 생각지 못했던 것이다. 예수님께서 죽은 자를 사리시고 문둥이를 깨끗케 하시며, 소경의 눈을 열어 주시는 등 이적을 행하시며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거하실 때, 유대인들은 예수가 메시아라면 로마를 정복하고 이스라엘을 회복시켜 주리라 생각했다.

 

유대인들이 예수님께 "가이사에게 세금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라고 물었던 적이 있다. 그들은 로마황제(가이사:시이저)에게 바치는 중한 세금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었다. 그때 만일 예수님이 왕이 되실 분이었다면 "이제는 가이사에게 세금 바칠 필요 없다. 내가 로마를 정복할 것이다" 라고 하셨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에게 드리라"는 미온적이고 불만족스런 대답을 하심으로써 유대인들을 맥빠지게 했다.

물론 그 말씀 안에는 귀중한 교훈이 있다. 하나님께서 로마로 하여금 이스라엘을 통치하게 하셨으므로 하나님의 뜻대로 육신으로는 로마의 세력에 굴복해야 할 것과 영으로는 하나님을 섬겨야 할 것을 말씀하신 것이다. 

 예수님이 오천여 명에게 이적으로 떡을 만들어 먹이시자, 그들은 "나는 참으로 세상에 오실 그 선지자라"면서 예수님을 붙잡아 억지로 임금을 삼고자 했다. 그런 큰 이적을 행할 수 있는 하나님의 선지자라면 왕으로 삼아 그를 중심으로 로마를 향해 혁명을 일으킬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수님은 유대인들이 바라는 그 왕 되심을 원치 않으시고 그들을 피해 산으로 가셨다(요 6:15).

 예수님이 정치적인 문제에 아무런 언급도 않으시고 왕이 되시지 않으므로 유대인들은 이에 크게 실망하였고, 그 기대감이 마침내 미움과 분노로 바뀌어 예수는 메시아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오히려 예수님을 오해하고 미워하고 핍박하게 된 것이다.


ⅳ)예수님은 그 민족의 종교적인 위선에 대해 신랄하게 지적하고 책망하심으로써 유대교 지도자들에게 큰 반감을 사게 되었다. 

 결국 하나님의 뜻에 대한 무지, 현실문제를 도외시한 예수님에 대한 오해, 그리고 형식적이고 위선적인 기득권 세력들의 반감 등이 복잡하게 얽히어 예수님은 죽임을 당하게 된다. 이스라엘 민족의 예수님을 로마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주고 불법재판을 강행하게 하여 십자가에 못박아 죽게 한 것이다. 

읽어 오는 중...
처리 중...
text_sending
검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