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를 담당하시는 하나님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 그녀를 정죄하려는 사람은 다 물러갔고 유일하게 남은 예수님만이 그녀를 정죄할 수 있는데, 예수님께서 “나도 너를 정죄(심판)하지 않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그 여인의 죄를 묵과하시겠다는 말씀일까요? 아닙니다. 하나님은 공의로운 심판자이시기 때문에 죄를 묵인하시지 않습니다.
하나님에게 있어 죄는 곧 죽음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거룩하신 하나님의 공의(公義)입니다. 만일 하나님께서 죄인의 죄를 그대로 묵과해 버리신다면, 하나님은 공의로운 분이 아닙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하나님의 공의를 깨뜨리려고 오신 분이 되고 맙니다. 모세의 율법에는 이런 자를 돌로 치라고 했고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인데, 예수님이 자의로 이 여인을 놓아준다면 예수님은 모세의 율법을 위반한 것이 됩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셨겠습니까?
예수님의 이 말씀은 여인의 죄를 묵인한 것도 아니고, 모세의 율법을 위반한 것도 아닙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라는 말씀 이면에는 중요한 깊은 뜻이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너를 대신해서 정죄를 받겠다. 내가 심판을 받고, 네 죄의 대가(對價)는 내가 담당하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그 죄인의 죄를 책임지실 것을 전제로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죄인의 죄값을 대신할 수 있는 속죄 제물(贖罪祭物)을 허락하셨고, 예수님께서는 그 속죄제물로 하나님께 드려지기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가 우리 죄를 없이하려고 나타내신바 된 것을 너희가 아나니 그에게는 죄가 없느니라”(요한 1서 3:5)고 했습니다. 죄에 대해 치루어야 할 값은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히브리서 9:22)는 말씀처럼, 생명의 희생입니다. 의인의 죽음으로써만 하나님이 받으시는 속죄제물이 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인류의 죄를 담당하시어 대속 제물로 죽으심으로 대속(代贖), 곧 대신 죄값을 치뤄주실 것을 선언하신 것입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라는 말씀의 의미는 예수님께서 죄인의 정죄와 심판을 대신 받으심으로 그녀의 죄를 용서해 주시겠다는 약속입니다. 예수님만이 심판하는 권세와 대속하는 자격이 있고, 예수님만이 그녀의 죄를 용서할 권세가 있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간음 중에 잡힌 이 여자가 누구입니까? 우리 각자는 하나님 앞에 심판받아야 될 죄인으로서 서 있는 범법자이므로, 그것은 다름 아닌 우리 자신의 모습입니다.
십계명을 펴놓고 우리를 비추어 보면 어떻습니까? 하나라도 제대로 지킨 것이 있습니까? 율법은 우리를 범죄자로 정죄합니다. 그 여인이 다른 재판장에게 끌려가지 않고 예수님 앞에 끌려온 것은 천만다행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율법을 주신 것은 정죄하고 심판해서 멸망시키려 함이 아닙니다. 사람으로 하여금 죄를 깨닫고 하나님 앞에 멸망 받을 수밖에 없는 죄인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그럼으로써 예수님께 나아가도록 하기 위함이 그 목적입니다.
유대 종교가들이 간음 중에 잡힌 그 여자를 현장에서 붙잡아 예수님 앞으로 끌고 왔는데, 사실 이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율법은 우리를 정죄하고, 우리를 의로운 재판장이신 예수님 앞으로 끌고 가는 것입니다. 의로우신 재판장인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심판하시기 위해 오신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그 여인의 죄를 묵과하시겠다는 말씀일까요? 아닙니다. 하나님은 공의로운 심판자이시기 때문에 죄를 묵인하시지 않습니다.
하나님에게 있어 죄는 곧 죽음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거룩하신 하나님의 공의(公義)입니다. 만일 하나님께서 죄인의 죄를 그대로 묵과해 버리신다면, 하나님은 공의로운 분이 아닙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하나님의 공의를 깨뜨리려고 오신 분이 되고 맙니다. 모세의 율법에는 이런 자를 돌로 치라고 했고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인데, 예수님이 자의로 이 여인을 놓아준다면 예수님은 모세의 율법을 위반한 것이 됩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하셨겠습니까?
예수님의 이 말씀은 여인의 죄를 묵인한 것도 아니고, 모세의 율법을 위반한 것도 아닙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라는 말씀 이면에는 중요한 깊은 뜻이 있습니다. 그것은 “내가 너를 대신해서 정죄를 받겠다. 내가 심판을 받고, 네 죄의 대가(對價)는 내가 담당하겠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그 죄인의 죄를 책임지실 것을 전제로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죄인의 죄값을 대신할 수 있는 속죄 제물(贖罪祭物)을 허락하셨고, 예수님께서는 그 속죄제물로 하나님께 드려지기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그가 우리 죄를 없이하려고 나타내신바 된 것을 너희가 아나니 그에게는 죄가 없느니라”(요한 1서 3:5)고 했습니다. 죄에 대해 치루어야 할 값은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히브리서 9:22)는 말씀처럼, 생명의 희생입니다. 의인의 죽음으로써만 하나님이 받으시는 속죄제물이 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인류의 죄를 담당하시어 대속 제물로 죽으심으로 대속(代贖), 곧 대신 죄값을 치뤄주실 것을 선언하신 것입니다.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노니”라는 말씀의 의미는 예수님께서 죄인의 정죄와 심판을 대신 받으심으로 그녀의 죄를 용서해 주시겠다는 약속입니다. 예수님만이 심판하는 권세와 대속하는 자격이 있고, 예수님만이 그녀의 죄를 용서할 권세가 있는 분이기 때문입니다. 간음 중에 잡힌 이 여자가 누구입니까? 우리 각자는 하나님 앞에 심판받아야 될 죄인으로서 서 있는 범법자이므로, 그것은 다름 아닌 우리 자신의 모습입니다.
십계명을 펴놓고 우리를 비추어 보면 어떻습니까? 하나라도 제대로 지킨 것이 있습니까? 율법은 우리를 범죄자로 정죄합니다. 그 여인이 다른 재판장에게 끌려가지 않고 예수님 앞에 끌려온 것은 천만다행입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율법을 주신 것은 정죄하고 심판해서 멸망시키려 함이 아닙니다. 사람으로 하여금 죄를 깨닫고 하나님 앞에 멸망 받을 수밖에 없는 죄인이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그럼으로써 예수님께 나아가도록 하기 위함이 그 목적입니다.
유대 종교가들이 간음 중에 잡힌 그 여자를 현장에서 붙잡아 예수님 앞으로 끌고 왔는데, 사실 이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율법은 우리를 정죄하고, 우리를 의로운 재판장이신 예수님 앞으로 끌고 가는 것입니다. 의로우신 재판장인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심판하시기 위해 오신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17 하나님이 그 아들을 세상에 보내신 것은 세상을 심판하려 하심이 아니요 저로 말미암아 세상이 구원을 받게하려 하심이라_요 3:17
읽어 오는 중...
처리 중...
text_sending
검색 중...